처음으로    온라인문의    사이트맵
2023년 세종도서 교양...
2023년 문학나눔도서 ...
2023년 문학나눔도서 ...
이름 황금알 이메일 color-box@hanmail.net
작성일 12.08.28 조회수 19115
파일첨부
제목
서울신문 - ‘바람의 끝자락을 보았는가’ 내놓은 작가 김인배
[저자와 차 한 잔] ‘바람의 끝자락을 보았는가’ 내놓은 작가 김인배
“상실의 경험 공유한 두 남녀 통해 쌓여온 기억의 의미 되새겨봤죠”


인간에게 기억은 무엇일까. 한 작가의 말을 들어본다. “기억은 마구 흩어놓은 그림판의 퍼즐 조각이라고 할까요. 아스라한 곳에서 허공을 울리며 술렁이는 바람처럼 어슴푸레 꼬리를 감추고 마는 상념들, 그 흩어진 조각들이 어디쯤에선가 만나 옛날의 일들을 시도 때도 없이 그립게 하기도 하고….”

●‘기억’을 정면으로 다룬 이례적 작품


기억한다는 것은 인간 존재의 정체성을 확고하게 유지해주는 중대한 정신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삶 자체가 과거, 현재, 미래로 연결되는 노정(程)이기 때문이겠다. 작가 김인배(64)씨가 무려 20년 가까이 절필 상태로 지내다가 최근 ‘기억’을 주제로 장편소설 ‘바람의 끝자락을 보았는가’(황금알 펴냄)를 세상에 내놓았다. 한국 소설에서 지금껏 ‘기억’ 그 자체를 문제 삼아 정면으로 다룬 작품은 매우 이례적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그동안 주로 역사 연구에 전념하며 관련 논문을 발표하거나 한국과 일본 고대 관계사에 얽힌 학술 서적을 출간하는 등 소설 이외의 분야에 정력을 쏟았지요. 오랜 기간 소설 창작은 중단하고 있었지만 남이 쓴 소설들은 그래도 부지런히 읽은 셈입니다. 한편으로 생각하면 그 침묵의 긴 세월은 기실 저만이 쓸 수 있는 소설이 어떤 것인지를 모색하는 기간이랄 수도 있습니다.”

그러는 동안 “자꾸 나이를 먹어갈수록 덧없이 흘려보낸 시간들만큼 쌓여 온 기억의 의미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된 것이 이번 소설을 쓰게 된 동기였다.”고 밝힌다. 아울러 “무엇보다 우선 소설 문장의 감각을 회복하는 일이 힘들었다.”고 하면서 “논문 투에서 벗어나 나름대로 소설 문체로 바꿔보려고 노력하며 꽤 애를 먹었다.”고 토로했다. 그렇다면 어떤 소설일까.

소설 속의 두 남녀 주인공은 각자 단순한 고통을 넘어 공포에 가까운 감정으로 마음속에 회한을 남기는 일, 그러한 상실의 아픔과 고통이라는 ‘기억의 굴레’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유사한 경험들을 간직하고 있다. 소설은 이 두 사람의 만남과 이별의 과정을 지켜보는 제3의 인물인 화자(話者)가 들려주는 이야기다. 제목 ‘바람의 끝자락’은 시간에 의해 퇴색되고 파괴되며 변하지 않는 게 아무것도 없는 불가항력적 자연의 섭리에 대한 근원적 공포를 의미한다. 또 그런 상황을 사랑의 힘으로 극복하려는, 덧없고 허무한 감정의 실체를 이중으로 상징하고 있다.

●바다·섬으로 원초적 인간 모습 그려

소설에서 기억의 출발지는 바다와 섬이다. 바다는 모태의 양수(羊水)와도 같은 질료로 그려진다. 그리고 섬은 자궁 속에 든 인간의 원초적 모습을 다룬다. 주인공은 천년 남짓 이전의 실존 인물이었던 백제계 일본 만엽가인(萬葉歌人) 가키노모토노 히토마로의 생애와 노래를 추적하며 연구에 몰두할 동안 어느덧 그를 자신의 삶과 동일시하는 데서 시공일여(時空一如)의 신비로운 현상을 실감한다. 그가 천년도 넘은 옛날의 만엽가인을 이 시대에 다시 불러낸 것처럼 죽은 자라도 기억이 있는 한 새롭게 부활시킨다.

작가는 1975년 ‘문학과 지성’을 통해 중편 ‘방울뱀’으로 등단했다. 이후 ‘하늘궁전’(문학과 지성), ‘후박나무 밑의 사랑’(문학과 지성), ‘문신’(고려원), ‘비형랑의 낮과 밤’(문학세계사) 등의 소설집을 펴냈다.

1982년에 발표된 중편 ‘물목’으로 올해의 문제 작가에 선정되기도 했다. 현재 창신대학 문예창작과 외래교수로 재직 중이다.

글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사진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2012-08-25 19면
이전글 서울신문 - 이성렬 교수 문학작품 작품상
다음글 국방일보 - 독일 연방군의 지휘 철학은 벤치마킹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