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온라인문의    사이트맵
2023년 세종도서 교양...
2023년 문학나눔도서 ...
2023년 문학나눔도서 ...
만났다 (황금알시인선 256)
지은이 : 허형만
출판사 : 황금알
발행일 : 2022년 11월 11일
사양 : 112쪽 | 128*210
ISBN : 979-11-6815-034-8-03810
분야 : 황금알 시인선
정가 : 10,000원
그동안 허형만 시인의 시는 생명에의 침묵을 언어에 집중함으로 생성되는 신성한 사유 체계를 보여주었다. 이번 시집 만났다역시 순도 높은 언어가 무르익은 결정체로 한 생명이 탄생하는 것은 참으로 커다란 축복”(누리장나무 열매)이 아닐 수 없다. 그것도 저마다 매혹적인 영혼의 눈을 간직하고 있다는 것을 시인만이 추구해온 언어를 통해 기존의 언어를 파기시켰다. 이러한 시작은 서서히 부풀어 오르는 나무”(얼마 남지 않은 시간)로부터 손톱까지 선명한/ 나무의 저 고운 손가락을/ 어떻게 표현하면 좋을까.”라는 근원적 탐구에서 구성되는 것이다. 우리는 여기서 언어의 덫과 미로에 갇힌 사물의 언어를 그의 시를 통해 발견하게 한다. 이로써 허형만이 가지는 사물에 대한 시 의식은 기표의 표면에서는 미완이며 심층에서만이 해소될 수 있는 기의를 상기시켜 준다.
이같이 그의 시는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간절한 음성으로 보여주는 심층적 방식을 통해 말로 할 수 없는 것을 말하여 왔다. 이는 우회적인 방법으로 말로 할 수 있는 것을, 말하게 하는 데 순간의 침묵이 환원된 것. 이 침묵은 보여주는 간접적인 전달 방안으로 언어의 한계와 이성의 한계를 필연적으로 넘어서기 위함이다.
- 권성훈(문학평론가·경기대 교수)
허형만
 
1945년 전남 순천에서 태어났다. 1973월간문학(), 1978아동문예(동시)로 등단했다. 목포대학교 국문과 명예교수이며, 시집으로 청명』 『풀잎이 하나님에게』 『모기장을 걷는다』 『입맞추기』 『이 어둠 속에 쭈그려 앉아』 『供草』 『진달래 산천』 『풀무치는 무기가 없다』 『비 잠시 그친 뒤』 『영혼의 눈』 『첫차』 『눈먼 사랑』 『그늘이라는 말』 『불타는 얼음』 『가벼운 빗방울』 『황홀』 『四人詩集』 『바람칼』 『음성등과 시선집으로 새벽』 『따뜻한 그리움』 『내 몸이 화살』 『있으라 하신 자리에, 활판시선집 그늘이 있다. 한국대표서정시 100인선 뒷굽그리고 중국어 시집 許炯万詩賞析과 일본어 시집 , 수필집 오매 달이 뜨는구나와 평론집 및 연구서로 시와 역사인식』 『우리시와 종교사상』 『영랑 김윤식 연구』 『문병란 시 연구』 『오늘의 젊은 시인 읽기』 『박용철 전집-시집 주해』 『시문학 1-3호 주해』 『허형만 교수의 시창작을 위한 명상록등이 있다.
한국예술상, 한국시인협회상, 영랑시문학상, 공초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1부 얼마 남지 않은 시간
 
마침내 피워낸 꽃처럼·12
투신投身·13
상실에 대하여·14
누리장나무 열매·15
작은 몸짓·16
얼마 남지 않은 시간·17
이 은총의 아침·18
박쥐·19
상했다는 것·20
사냥·22
함부로, 그러니 함부로·23
까치 소리·24
두 마리의 개·25
기적·26
해 질 녘·27
방문객·28
한 생은 또 그렇게 견디고·29
얼룩에 대하여·30
유적·31
대국對局·32
한 사나이·33
양성우 시인·34
우리가 원하는 것·36
대면·37
입춘 지난 이른 아침·38
유채꽃밭에서는 모두가 황홀하다·39
이제야 알게 되었습니다·40
나무를 우러르며·41
봄날의 젖내·42
백신 맞은 날·43
·44
 
2부 산까치
 
시간의 무늬·46
·47
산까치·48
한 번도 가보지 못한 길·49
시집을 읽는다·50
독자를 위한 기도·51
새벽녘에·52
지금 써라·53
시여, 시여·54
이유·55
당신에게 묻는다·56
나는 오늘도 시를 쓴다·57
시의 벼랑·58
전사戰士·60
내 시의 텃밭·61
탄생·62
나의 시·63
나의 언어·64
순간의 침묵·65
눈 맞춤·66
 
3부 숲에서 배운다
 
행복·68
숲에서 배운다·69
비밀·70
상대성이론·71
첫눈·72
한겻의 숲·74
숲에서 꾸는 꿈·75
오후 네 시쯤·76
숲길에서·77
숲의 성채·78
숲에서 바라보기·79
따뜻한 숲·80
지금, 이 순간의 숲·81
오늘도 비 오시는 날·82
한 겨를·83
나는 신문을 보지 않네·84
나무의 기억·85
나는 숲에 들어 고요한데·86
숲길은 안다·87
숲에 가는 이유·88
숲에서·89
침묵의 숲·90
숲을 사랑하는 이유·91
위대한 숲·92
만났다·93
 
해설 | 권성훈
마법의 언어와 허형만 나무의 기억술·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