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온라인문의    사이트맵
2023년 세종도서 교양...
2023년 문학나눔도서 ...
2023년 문학나눔도서 ...
길 하나 돌려세우고 (한국단시조 시인선 1)
지은이 : 오승철
출판사 : 황금알
발행일 : 2021년 1월 27일
사양 : 128쪽 | 128*210 (양장)
ISBN : 979-11-89205-87-4-03810
분야 : 황금알 시인선
정가 : 15,000원

지음知音. 문득 떠오른 말이다. 시인 오승철. 등림登林 무렵의 일이니, 그와 나의 허교許交도 어언 마흔 해를 헤아린다. 그가 백아라면 나는 종자기요, 내가 고른 거문고 줄을 그는 먼 제주에서도 단박에 알아차린다. 우리는 서로에게 그런 터수다.

책머리, 짧은 시인의 말이 가슴을 친다. “허랑방탕,/ 여기까지는 왔다.” ‘여기까지가 아니고 여기까지는이다. 이 미묘한 감성의 낙차. 어쩌면 그것이 이 책을 묶게 했는지도 모른다. 단시조 예순일곱 수. 시조집이라 했지만, 실은 그가 쓴 단시조의 전집인 셈이다.

시조의 본령인 단시조에 그는 집요하리만치 일관되게 제주의 정서를 담는다. 그러면서 정형미학의 한 정체를 보여준다. 그 속에는 제주의 역사와 인물, 풍경과 풍물, 사람살이의 안과 밖이 오롯하다. 제주의 산과 바다, 오름과 올레, 꽃과 새, 짐승과 곤충을 망라하기 때문이다.

오승철 시조의 고갱이는 그 특유의 말맛에 있다. 이는 언어의 탄력과 정감, 심상과 율격의 결속 없이는 불가능하다. “북채를 들지 않아도/ 북이 먼저 울겠네” “어차피 못 가져갈/ 벚꽃은 그냥 두고” “할머니 유모차 슬쩍/ 같이 밀고 가는 봄비” “종지윷 날리는 상가, 개평 뜯고 가는 놀빛” “바닷길 쪽으로만/ 기우는 가지가 있다등에서 보듯, 그는 자연과 인간의 절묘한 만남을 통해 정신의 질량을 높여간다. 그렇게 감동이면 감동, 여운이면 여운의 잣담을 쌓아 가는 것이다.

그의 시조에는 워낙 의 출현이 잦다. ‘은 진작부터 그의 시조를 관통하는 핵심 시어로 작용한다. “위미리/ 옛집 그 너머/ 사발 깨듯울던 것이 갓 쪄낸 쇠머리떡에/ 콩 박히듯울기도 하니, 이만하면 하나로 오승철 시조의 전경화全景畵를 시도해 봄직도 하다.

길 하나 돌려세우고, 그는 지금 또 다른 길 위에 서 있다. “달강달강 온몸으로 감당해낸 끌탕의 세월일망정, 다만 저 절현絶絃의 길만은 멀리 에두를 일이다.

- 박기섭(시인)

오승철

 

1957년 제주 서귀포 위미에서 태어나 198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겨울귤밭으로 등단하여 작품활동을 시작하였다.

시조집 오키나와의 화살표』 『터무니 있다』 『누구라 종일 홀리나』 『개닦이등이 있다.

한국시조작품상, 이호우시조문학상, 중앙시조대상, 오늘의시조문학상, 한국시조대상, 고산문학대상, 한국예술상 등을 받았다.

오늘의시조시인회의 의장을 지냈다.

osc3849@empas.com

1부 초파일 그리움 건너

 

다시, ·12

누이·13

봄꿩·14

봄날·15

차마고도·16

어느 날 백수白水 선생·17

북돌아진오름·18

올레길 따라·19

어느 은퇴 장로·20

볕뉘·21

하얗게 웃다·22

낙화·23

꿩꿩 푸드덕·24

 

2부 이 세상 손바닥 하나


베들레햄별꽃·26

섬잔대·27

야고·28

대흘리 능소화·29

쇠별꽃·30

손바닥 선인장·31

멀구슬나무 1·32

으아리꽃·33

제주골무꽃·34

바람꽃·35

멀구슬나무 2·36

어느 ·37

엎지르다·38

그러니까·39

 

3부 가지깽이 댕글랑

 

돌가마터·42

가을 하늘·43

선흘리 먼물깍·44

내 사랑처럼·45

·46

유달산  열두 ·47

닐모리동동·48

주전자·49

가파도 1·50

청도반시·51

팔공산·52

봄비·53

꿩꿩장서방·54

 

4부 허공에 간절한 생각

 

고추잠자리 5·56

고추잠자리 10·57

고추잠자리 11·58

고추잠자리 12·59

고추잠자리 13·60

고추잠자리 14·61

고추잠자리 15·62

고추잠자리 21·63

화살깍지벌레·64

풍장·65

쓸데없이·66

그래 봤자·67

시월·68

까딱 않는 그리움·69

 

5부 이 악물듯 오는 눈

 

서귀포 바다·72

섬동백 1·73

섬동백 2·74

위미리·75

추석날 위미리는·76

위미리 동백·77

그리운 ·78

한라산 2횡단도로 나목들·79

봄동·80

본전·81

서귀포·82

늦눈·83

대설·84

 

해설 | 박성민

식물적 상상력과 동물적 상상력, 그 서정의 결속·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