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사이트맵
2023년 세종도서 교양...
2023년 문학나눔도서 ...
2023년 문학나눔도서 ...
제주큰굿 연구
지은이 : 문무병
출판사 : 황금알
발행일 : 2018년 12월 31일
사양 : 704쪽 | 152*225
ISBN : 979-11-89205-28-7-03380
분야 : 역사, 문화
정가 : 50,000원
『제주큰굿 연구』는 필자가 굿을 연구한 
‘1980년부터 2018년까지’ 38년의 인생도 함께 담겨 있다! 

굿 공부 한다며 다녔던 심방집 큰굿, 일주일 해야 끝나는 사가의 큰굿. ‘이레굿’의 두 배가 넘는 심방집 큰굿은 굿하는 심방(밧공시)과 배우는 심방(안공시) 해서 심방도 두 배, 악기도 두 배, 명두도 두 배, 안팟 연물도 두 배로 안과 밖에서 치기 때문에 굿하는 데 걸리는 시간도 두 배가 되어 ‘두이레 열나흘 굿’이라 한다. 하지만 굿은 보통 보름을 넘겨 16일 17일 동안 이어진다. 끝이 보이지 않을듯하다가 정말 크고 신령한 느낌을 주며 비로소 막을 내리는 제주큰굿. 
이 책은 심방집 큰굿의 전 과정이 담긴 이론서이며 동시에 2011년 성읍리 마방집에서 있었던 정공철 심방의 초역례 신굿을 정리한 자료서이다. 두 얼개의 완성은 ‘제주큰굿 연구’의 의미를 비로소 갖추는 첫 작품이다. 『제주큰굿 연구』는 필자가 만난 돌아가신 심방도지사 도황수 급 큰심방들인 강봉원, 정주병, 박인주, 안사인, 진부옥, 이중춘, 한생소, 김명선, 강신숙, 문성남, 김영수, 양창보, 정태진, 오방근, 정공철 심방, 고(故) 옛 선생님들께서 평생 굿을 하며 남긴 굿사전[巫堂書]이 집약되어 있다. 
- 머리말 중에서
문무병

제주에서 태어나 제주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고, 국어 교사와 제주교육박물관 연구사로 재직했다. 부산대학교 예술대학에서 15년간 민속학 강의를 했고, 제주4·3연구소 이사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제주의 무속신화』(1999) 『제주도 큰굿 자료집』(2001) 『제주의 민속극』(2003) 『바람의 축제, 칠머리당 영등굿』(2004) 『제주도 본향당 신앙과 본풀이』(2008) 『신화와 함께하는 제주 당올레』(공저, 2017) 『설문대 할망 손가락』(2017) 『두 하늘 이야기』(2017) 등이 있다. 
현재 제주신화연구소 소장, 제주전통문화연구소 이사장, 민족미학연구소 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머리말?18

1부 제주의 큰굿
1. 큰굿은 어떤 굿일까?30
2. 정체성의 토대로서의 굿판?33
1) 우주관(宇宙觀)-하늘과 땅?33
2) 생사관(生死觀)-이승과 저승?38
3) 세계관(世界觀)-시간과 공간?40
4) 굿판(祭場)의 구조와 신관(神觀)?45
3. 제주도의 큰굿과 심방?48
4. 굿의 역사?59
5. 큰굿 열두 석?65
6. 큰굿은 제주 민중예술의 종합이다?69

2부 제주 큰굿의 실제
1. 성읍리 마방집 큰굿의 성립?74
2. 큰굿의 준비?75
1) 멩두물림?75
2) 굿 준비와 기메고사?80
3. 큰굿의 시작?84
1) 첫째 날 : 《큰대 세우기》 《초감제》?84
《큰대 세우기》?86
《초감제》?87
2) 둘째 날 : 《초신맞이》 《초상계》 《추물공연》?177
《초신맞이》?178
《초상계》?191
《추물공연》?193
3) 셋째 날 : <관세우> 《보세감상》 《초공본풀이》 《이공본풀이》 《삼공본풀이》?195
  〈관세우〉?196
《보세감상》?204
《초공본풀이》?206
《이공본풀이》?206
《삼공본풀이》?207
4). 넷째날 : <관세우> 《세경본풀이》 《불도맞이》?208
  〈관세우〉?210
《세경본풀이》?211
《불도맞이》?212
5) ?다섯째 날 : <관세우> 《초·이공맞이》 <역가올림>  <공시풀이>?232
  〈관세우〉?234
《초·이공맞이》?234
  〈역가올림〉?239
  〈공시풀이〉?263
6) ?여섯째날 : <관세우> <초이공 메어듦> <본향놀림> 《시왕맞이》 <제오상계> <칠성본풀이> <석살림>?283
  〈관세우〉?286
  〈초이공 메어듦〉?286
  〈본향놀림〉?287
《시왕맞이》?288
  〈제오상계(용놀이)〉?288
  〈칠성본풀이〉?325
  〈석살림〉?325
7) 일곱째 날 : <관세우> 《시왕맞이·삼시왕맞이》?326
  〈관세우〉?328
《시왕맞이 · 삼시왕맞이》?328
8) ?여덟째 날 : 《시왕도올림》 <차사영맞이(1)> <차사영맞이(2)> <차사영맞이(3)>?334
《시왕도올림》?335
  〈차사영맞이(1)〉?336
  〈차사영맞이(2)〉?338
  〈차사영맞이(3)〉?362
9) ?아홉째 날 : 《시왕맞이》 <액막이> <산신놀이> <차사본풀이>  <공시풀이> <시왕질치기> 《시왕메어듦》 <본향놀림>?364
  〈액막이〉?365
  〈산신놀이〉?379
  〈차사본풀이〉?380
  〈공시풀이〉?380
  〈시왕질치기〉?380
《시왕메어듦》?381
  〈본향놀림〉?403
10) ?열째 날 : 《당주삼시왕맞이》 <당주질침> <공시풀이>?404
《당주삼시왕맞이》?406
  〈당주질치기〉?456
  〈공시풀이〉?539
11) ?열 첫째 날 : <당주메어듦> 《고분멩두》 <고분멩두질침>   <세경놀이> <잔잡힘>?540
  〈당주 메어듦〉?542
  〈고분멩두〉?543
  〈고분멩두 질치기〉?545
  〈?놀이〉?592
  〈세경놀이〉?592
  〈잔잡힘〉?594
12) ?열둘째 날 : 《삼공맞이》 <삼공본풀이> <전상놀이> <공시풀이> <석살림>?595
  〈삼공맞이〉?597
  〈삼공본풀이〉?600
  〈전상놀이〉?600
  〈공시풀이〉?602
  〈석살림〉?603
13) ?열셋째 날 : 《관청할망 인사》 《상단숙임》 《만지장본풀이》 《문전본풀이》 《각도비념》 《본향?리》?604
《관청할망인사》?606
《상단숙임》?607
《만지장본풀이》?608
《문전본풀이》?609
《각도비념》?629
《본향?리》?631
14) ?열넷째 날 : 《영개돌려세움》 《군웅만판》 《큰대지움》 《안팟공시 신갈림》?632
《영개돌려세움》?634
《군웅만판》?653
《큰대지움》?654
《안팟공시 신갈림》?656
15) ?열다섯째 날 : 《가수리·뒤맞이》 《요왕맞이》 《추물공연》 <요왕질치기> 《영감놀이》?658
《가수리 · 뒤맞이》?660
《요왕맞이》?662
  〈요왕질치기〉?664
《영감놀이》?666
16) 열여섯째 날 : 《본향인사》 《돗제》 《배방선》?669
《안할망당(본향당) 인사》?670
《돗제(豚肉祭)》?671
《배방선》?674
4. 큰굿의 정리?675
1) 성읍리 마방집 큰굿의 시작?675
2) 정공철 심방의 초역례?676
3) 굿중의 굿, 심방집 큰굿?681
4) 큰굿의 심방, 안공시와 밧공시?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