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온라인문의    사이트맵
2023년 세종도서 교양...
2023년 문학나눔도서 ...
2023년 문학나눔도서 ...
한국민화논총
지은이 : 사단법인 한국민화센터(이사장 윤범모)
출판사 : 황금알
발행일 : 2017년 2월 24일
사양 : 944쪽 | 152*225
ISBN : 979-11-86547-57-1-93040
분야 : 역사, 문화
정가 : 50,000원
민화에 대한 연구의 열기에 비해 미술사학계에서는 민화의 한국적 특징과 토속적 미감의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창의성과 변화상을 중시하는 근대적 창작주의와 역사주의에 입각하여, 미술사 사료로서의 요건을 충분히 갖추지 못한 것으로 간주했다. 상층 문화의 침강에 따라 인습적이고 상투적으로 전개되어 왔기 때문에, 시대적 변화와 창의성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작가와 작품을 중심으로 서술되는 한국 회화사에서 다룰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1990년대의 탈근대주의에 따른 문화다원론 등에 힘입어 민화의 모태이며 상층부를 이루었던 궁중회화=궁화(宮畵)에 대한 연구를 비롯하여 중국 민간 연화(年畵)와의 관계 등, 동아시아의 장르 관습과 문화 유통의 맥락에서 그 구조적 실체 파악을 시도하게 된다. 그리고 책가도와 요지연도, 곽분양행락도, 까치호랑이 그림, 십장생도, 백자동도, 문자도, 감모여재도 등을 대상으로 대학원 미술사학과의 석사논문을 포함해 미술사적 의의를 규명하기 위한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사단법인 한국민화센터(이사장 윤범모)

홍선표 : 전 이화여대 미술사학과 교수
고연희 : 서울대학교 규장각 연구교수
윤범모 : 사)한국민화센터 이사장
이영실 : 동국대 문예대학원 강사
김종원 : 사)문자문명연구회 회장
김용권 : 경희대학교 대학원 교수
이경숙 : 박물관 수 관장
정병모 : 경주대학교 문화재학과 교수
윤열수 : 가회민화박물관 관장
우영숙 : 민화작가
이상국 : 가회민화박물관 부관장
유정서 : 월간민화 편집국장
윤진영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구실장
박본수 : 경기도미술관 학예연구사
고연희 :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연구교수
김홍남 : 전 국립중앙박물관 관장
심성미 : 민화연구가
임수영 : 한국민화학회 이사
조에스더 : Templeton University 교수
유미나 : 원광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정현 : 사)한국민화센터 이사
정귀선 : 사)한국민화센터 이사
김취정 : 서울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변인호 : 홍익대학교 정보정책대학원 외래교수
발간사

홍선표 조선 민화의 새로운 관점과 이해
고연희 민화와 문인화 ― ‘민화’의 범주와 회화사적 위상을 위한 고찰
윤범모 민화라는 용어와 개념의 비판적 검토
이영실 조자용의 민화연구와 민화운동
김종원 민화(民畵·회화繪畵)와 서화일치(書畵一致)
김용권 세화(歲畵)와 연화(年畵)의 차이점 연구
이경숙 민화 전통성의 현재적 가치
정병모 조선말기 불화와 민화의 관계
윤열수 강원도 지역 민화에 대한 고찰
우영숙 중국 연화(年畵)의 형성과정
김홍남 ?한국과 중국의 ‘곽분양왕행락도(郭汾陽王行樂圖)’ ― 회화 속 건축포경(建築佈景)의 상징의의(象徵意義)
이상국 ?19세기 호렵도의 양식적 특징 ― 행소박물관 소장 <호렵도(胡獵圖)> 12폭 병풍을 중심으로
유정서 ?「맹영광백동도가(孟永光百童圖歌)」의 분석을 통해 본 조선백자도의 기능과 용도
윤진영 조선중·후기 호랑이 그림[虎圖]의 유형과 도상
박본수 조선후기 십장생도 연구
고연희 ?‘어약용문(魚躍龍門)’에서 ‘어변성룡(魚變成龍)’으로 ― ‘급제(及第)’에서 ‘충(忠)’으로
김홍남 조선시대 <궁모란병(宮牡丹屛)> 연구
심성미 19세기 모란도 성행과 조선사회의 부귀지향
임수영 민화 계견사호도를 통해 본 사자 도상의 정체성
조에스더  민화 어해도의 한국적 특징
유미나 민화 속의 거북 도상과 상징
윤범모 조선 후기의 책거리 문화, 다시 생각하기
정병모 제주도의 문자도병풍
이상국 경상도 유교문자도 연구
김홍남 ?조선시대 궁중 <일월오봉병(日月五峯屛)>에 대한 도상해석학적 연구 ― 군주와 유교적 통치의 원리
박본수 조선후기 요지연도의 현황과 유형
윤열수 사찰벽화 속 민화
정  현 민화 감모여재도(感慕如在圖)의 불교적 성격
정귀선 은해사 백흥암 극락전 수미단 연구
김취정 ?장생불사(長生不死)를 향한 염원 ― 유불선(儒佛仙) 삼교일치(三敎一致)의 단학(丹學) 지침서 『성명규지(性命圭旨)』와 민화 유불선도(儒佛仙圖)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변인호 조선시대 서양 합성 유기안료의 수입과 활용